안녕하십니까? 엊그제 시작한 것 같은 2022년 壬寅年도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2023년 癸卯年 상·하반기 주요 계획과 연구 진행 내용을 간략하게 전해 드립니다. 금월 22일은 회사가 창립한지 14년차 되는 날이었습니다. 그동안 전사적으로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해온 글로벌신약개발 R&D분야에서 단계별로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결과물인 기술수출계약 소식을 금년 중에 전해드리지 못하여 많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2020년 IPO철회 이후,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폐섬유증(YDC105), 유전자치료제(YDB102), 알츠하이머치료제(YDC104) 개발을 위하여 회사가 직접 기초연구부터 수행하며 글로벌신약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약 2년간에 걸친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혁신신약을 개발하겠다는 일념속에 상당한 객관적 성과와 진전을 가져왔습니다. 회사는 개별 파이프라인 이외에 성공적 신약개발을 위한 원천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기술로 합성신약을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는 "화합물라이브러리와 약리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폐섬유증과 알츠하이머치료를 위한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에 많은 효용성을 가져왔습니다. 두 번째 기술은 "유전자치료제 플랫폼"입니다. YDB102파이프라인도 기술이전이 가능할 수준(국내특허 등록완료 및 해외PCT 출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도 플랫폼기술 때문 입니다. 이 두개의 원천기술을 고도화시켜 적응증등 확대에 활용할 경우 화합물 신약 파이프라인과 유전자치료제 확장성은 크게 확대되어 년 단위로 기술을 상업화 시킬 수 있는 R&D 역량을 갖게 될 것입니다. 2023년도 상·하반기 핵심 사업계획 입니다. 상반기: 폐섬유증치료제 후보물질 글로벌 기술이전 및 적응증 확대 하반기: 공모절차에 의거 IPO주관사 재선정(현재 신한투자증권) 글로벌기술이전 실적을 바탕으로 한 기술특례신청, 코스닥상장 재추진 (단, 기술이전계약 세부조건에 따라 탄력적 일정 운영) R&D 핵심 파이프라인 진행사항 입니다. 가장 빠른 연구진행 속도를 보이며 순항중인 폐섬유증치료제(YDC105)는 혁신신약후보물질로 국내.외 기초연구 데이타가 전무한 노블타겟 입니다. 기초과정부터 당사에서 직접 설계하며 연구 전 과정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금년 10월“BIO EUROPE 2022”국제행사에서 처음으로 연구성과 발표를 시작하여 2023년 1월 "BIOTECH SHOWCASE 2023", 2월"BIO CEO & INVESTOR CONFERENCE", 5월 "BIO EQUITY 2023"로 이어지는 바이오분야 행사에서 연구성과 단상 발표 기업으로 연속 선정되어 세계시장에 기술을 빠르게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연 이은 연구성과 발표는 곧 기술이전 이라는 큰 결과물로 귀결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폐섬유증치료제는 1차 기술실사에서 다수의 글로벌제약사들이 요청한 장기독성 및 동태학 실험과 Human 폐조직에서의 반응실험등 물리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실험이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 또는 좋은 결과로 데이터가 확보되고 있습니다. 장기독성 동태학실험에서는 안전성이 검증 되었으며, 휴먼 폐조직에서의 반응실험에서도 유의미한 데이터가 확보될 것으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연구중인 폐섬유증치료제 타겟과 작용기전은 모두 노블 합니다. 타겟과 작용기전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등이 일체 없어 폐섬유증치료제로 우수한 약물효과를 나타내는 원인을 좀더 완벽하게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분야 추가 데이터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치료제(YDC104) 연구는 현재 국내 모 대학에 알보라다 소유 선도물질로 1차 동물 효능실험이 의뢰되어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 선도물질을 공동으로 개선하여 후보물질로 발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마지막주에는 알보라다(ADDI)연구소의 핵심 연구진과 대표가 당사를 내방 합니다. 공동연구에 대한 연구계획과 전략, 기술이전 목표 시점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유전자치료제 플랫폼을 통한 첫 수확물 YDB102 파이프라인은 소규모 동물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입증후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였으며 해외PCT도 출원을 하였습니다. 2023년도부터는 전담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확대 동물실험과 고도화 연구를 실시하여 상업화 가능성을 앞당기겠습니다. 변동성이 심화되는 국내외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오랜기간 회사를 믿고 응원하여 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癸卯年 새해에는 크게 웅비하는 한 해를 만들 것을 거듭 약속드리며 모든 주주님과 가족, 임직원 여러분의 행복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23일 (주)와이디생명과학 경영지원부문 사장 |
안녕하십니까?
엊그제 시작한 것 같은 2022년 壬寅年도 며칠 남지 않았습니다.
2023년 癸卯年 상·하반기 주요 계획과 연구 진행 내용을 간략하게 전해 드립니다.
금월 22일은 회사가 창립한지 14년차 되는 날이었습니다.
그동안 전사적으로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해온 글로벌신약개발 R&D분야에서 단계별로 획기적인 연구 성과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결과물인 기술수출계약 소식을 금년 중에 전해드리지 못하여 많은 아쉬움이 남습니다.
2020년 IPO철회 이후,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폐섬유증(YDC105), 유전자치료제(YDB102), 알츠하이머치료제(YDC104) 개발을 위하여 회사가 직접 기초연구부터 수행하며 글로벌신약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약 2년간에 걸친 짧은 연구기간에도 불구하고 혁신신약을 개발하겠다는 일념속에 상당한 객관적 성과와 진전을 가져왔습니다.
회사는 개별 파이프라인 이외에 성공적 신약개발을 위한 원천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기술로 합성신약을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는 "화합물라이브러리와 약리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폐섬유증과 알츠하이머치료를 위한 혁신신약(First-In-Class) 개발에 많은 효용성을 가져왔습니다.
두 번째 기술은 "유전자치료제 플랫폼"입니다. YDB102파이프라인도 기술이전이 가능할 수준(국내특허 등록완료 및 해외PCT 출원)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도 플랫폼기술 때문 입니다.
이 두개의 원천기술을 고도화시켜 적응증등 확대에 활용할 경우 화합물 신약 파이프라인과 유전자치료제 확장성은 크게 확대되어 년 단위로 기술을 상업화 시킬 수 있는 R&D 역량을 갖게 될 것입니다.
2023년도 상·하반기 핵심 사업계획 입니다.
상반기: 폐섬유증치료제 후보물질 글로벌 기술이전 및 적응증 확대
하반기: 공모절차에 의거 IPO주관사 재선정(현재 신한투자증권)
글로벌기술이전 실적을 바탕으로 한 기술특례신청, 코스닥상장 재추진 (단, 기술이전계약 세부조건에 따라 탄력적 일정 운영)
R&D 핵심 파이프라인 진행사항 입니다.
가장 빠른 연구진행 속도를 보이며 순항중인 폐섬유증치료제(YDC105)는 혁신신약후보물질로 국내.외 기초연구 데이타가 전무한 노블타겟 입니다. 기초과정부터 당사에서 직접 설계하며 연구 전 과정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금년 10월“BIO EUROPE 2022”국제행사에서 처음으로 연구성과 발표를 시작하여 2023년 1월 "BIOTECH SHOWCASE 2023", 2월"BIO CEO & INVESTOR CONFERENCE", 5월 "BIO EQUITY 2023"로 이어지는 바이오분야 행사에서 연구성과 단상 발표 기업으로 연속 선정되어 세계시장에 기술을 빠르게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연 이은 연구성과 발표는 곧 기술이전 이라는 큰 결과물로 귀결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폐섬유증치료제는 1차 기술실사에서 다수의 글로벌제약사들이 요청한 장기독성 및 동태학 실험과 Human 폐조직에서의 반응실험등 물리적으로 장기간이 소요되는 실험이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 또는 좋은 결과로 데이터가 확보되고 있습니다. 장기독성 동태학실험에서는 안전성이 검증 되었으며, 휴먼 폐조직에서의 반응실험에서도 유의미한 데이터가 확보될 것으로 자신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연구중인 폐섬유증치료제 타겟과 작용기전은 모두 노블 합니다. 타겟과 작용기전에 대한 기초 연구자료등이 일체 없어 폐섬유증치료제로 우수한 약물효과를 나타내는 원인을 좀더 완벽하게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분야 추가 데이터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치료제(YDC104) 연구는 현재 국내 모 대학에 알보라다 소유 선도물질로 1차 동물 효능실험이 의뢰되어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 선도물질을 공동으로 개선하여 후보물질로 발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마지막주에는 알보라다(ADDI)연구소의 핵심 연구진과 대표가 당사를 내방 합니다. 공동연구에 대한 연구계획과 전략, 기술이전 목표 시점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유전자치료제 플랫폼을 통한 첫 수확물 YDB102 파이프라인은 소규모 동물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입증후 국내 특허등록을 완료하였으며 해외PCT도 출원을 하였습니다. 2023년도부터는 전담팀을 별도로 구성하여 확대 동물실험과 고도화 연구를 실시하여 상업화 가능성을 앞당기겠습니다.
변동성이 심화되는 국내외 어려운 경제여건 속에서도 오랜기간 회사를 믿고 응원하여 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癸卯年 새해에는 크게 웅비하는 한 해를 만들 것을 거듭 약속드리며 모든 주주님과 가족, 임직원 여러분의 행복과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